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스크랩] ㄱ자집 짓기(평면도 작성,물목뽑기)

低山下 2013. 1. 7. 13:44

비가와서 쉬는날 시작을 해보는데


풀어쓰는것이 쉽지가 않은 것임을 알게 됩니다.


암튼 시작했으니 조금씩 풀어가겠습니다.


=====================================


이집에 대한 기준은 저의 경험과 생각에서 정하기에

 

당연히 경험부족과 관심부족으로 실수와 미흡한 부분들이

 

많이 나오리라 생각되어집니다. 저역시 그러한 부분들을 지어가면서

 

발견할 요량이구요. 그렇게 시작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평면도를 그려보겠습니다.




 

이렇게 정해서 집을 지어보겠습니다.

 

전체를 완성해보면 처음부터 집을 그릴 때 무엇에 주의해야할지를

 

알테지만, 그런 안목은 없는 관계로 지어가면서 문제점을 발견할 요량입니다.

 

다시 기둥자리로 해서 목수가 알아보는 도면으로 작성하면

 

거리는 자로 계산을 하기로 정하겠습니다.

 

그럼 도면을 기준으로 물목을 뽑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기준부재를 장여(보통 수장폭과 같기에)로 정해서 그로부터 치수를 정하는 방법으로

 

물목을 뽑겠습니다. 살림집의 수장폭은 제각이나 사찰에 비해 사람이 먹고, 자고 하는공간

 

이기에 추위와 더위등을 더 신경써야 하기에 조금 더 두껍게 쓰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4치정도로 정하겠습니다. 그러면 7치기둥을 쓰면 수장을 넣었을 때

 

1.5푼정도 양쪽으로 남기에 적당할 것 같습니다.





 5치로 할 경우 7치기둥이면 양쪽으로 1치의 살은 혹시라도 수장이 돌아가면서 찢어질 우려를 생각해봅니다.

 

물론 기둥을 8치나 9치로 하면 되겠지만, 부재의 크기에 따른 비용이나 집의 커짐등과

 

같은 고려가 생깁니다. 저로서는 크고 우악스런 집보다는 아담하고 적당한 살림집이

 

좋아 보여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수장을 4치로 정했으니 이제 집짜는 순서대로 부재의 물목을 뽑겠습니다.


먼저 기둥을 정하면 7치*7치*9자로 하겠습니다. 기둥이 높이를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9자가 적당한 것 같습니다. 10자 이상되면 집이 훌쩍해서 안정감이 없는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기둥자리를 다음과 같이 표기하겠습니다.


 

기둥갯수가 22개입니다. 이집은 내부에 고주를 세울 요량입니다.

 

고주를 세우면 내부에 기둥이 들어서서 거실등을 크게 쓸 때 기둥이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이 있을수 있겠지만,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고주를 쓸 경우 대들보를 크게 쓰지 않아도 되고, 퇴보와 대들보의

 

아기자기한 모습이 좋아보여 이렇게 해보겠습니다.

 

나2,다2,라2,나3,다3,라3가 고주입니다.

 

평주 16개, 고주 4개이고, 고주의 높이는 장연물매를 4치로 해서 퇴칸거리가 6자이니까

 

10:4=6:x 로 계산하면 x=2.4이니 고주는 9자에서 2자4치 더하면

 

넉넉히 12자로 써주면 되겠습니다.

 

아참. ㄱ자 마루부분 앞기둥은 원기둥을 써서 초익공을 해보려고 했으니

 

2개는 원기둥으로 하겠습니다.

 

그다음 보아지는 4치*7치*2자4치로 해서 귀부분을 제외하고 ㄱ자부분에 2개가

 

들어간다고 해서 12개가 필요한데, 그림을 그려보면 보아지 뒷부분의 각을 이정도로

 

주면 4자5치면 2개의 보아지가 나오므로(물론 자를 때 톱의 두께를 생각하면 1푼정도의

 

여유가필요함) 9자로 3개가 필요하겠고, 중보아지가 6개 필요하니 14자 하나면 되겠습니다.




 

다음은 주심장여 4치*7치로 뺄목이 없는 부분이 12자가 2개, 11자가 4개,

 

6자가 1개, 뺄목길이는 1자(나무의 여유가 있으면 1자2치 정도로 하면 좋을 듯)로 하면

 

11자가2개, 7자가 3개, 8자가 2개, 13자가 1개, 14자가 1개, 총 16개이고

 

다시 정리하면 6자1개, 7자3개, 8자2개, 11자6개, 12자2개, 13자1개, 14자1개인데

 

다시 정리해서 6자와7자를 합쳐 13자로, 7자 2개를 합쳐 14자로 그럼

 

8자2개, 11자6개, 12자2개, 13자2개, 14자2개가 되겠습니다.

 

ㄱ자 마루부분의 초익공에 창방이 들어가니 창방은 5*7치로 하겠습니다.

 

8자가 2개, 14자가 1개입니다.

 

주두는 1자*5치로 하고 2개가 필요하니 길이는 2자로 합니다.

 

소로는 6치*3치로 해서 9자 1개면 되겠습니다.

 

퇴보는 8치*1자*7자(뺄목은 1자2치)로 하겠습니다. 6개가 필요합니다.

 

대들보는 8치*1자2치*12로 하겠습니다. 3개가 필요합니다.

 

충량은 8치*1자2치로 11자2개, 13자 2개가 필요하고,

 

ㄱ자부분에 8치*1자로 13자가 1개, 7자가 1개가 필요합니다.

 

주심도리는 7*8치로 주심장여가 같은 수량이 필요합니다.

 

주심부분이 짜졌으니 오량으로 올라갑니다.


 

다음과 같이 오량을 그렸습니다. ㄱ자부분으로 이어지는 종도리와 오량외기부분이

 

같아야 하기에 주심에서 6자 안쪽으로 오량외기를 구성했습니다.

 

중보아지는 4*7치로 6개가 필요하니 14자1개가 필요합니다.

 

중장여는 4*7치로 5자 2개(외기뺄목1자), 7자 2개, 14자 2개, 11자 4개가 필요합니다.

 

중보는 7*9치로 14자 3개가 필요합니다

 

중도리는 7*8치로 중장여와 같은 수량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대공과 상량이 올라가는데 단연물매를 구해서 대공높이를

 

알아야 합니다. 일단 단면도를 그려봅니다. 


전체물매는 5치로 하고, 단연물매가 4치로 하면, 단연물매는 6치로 하면 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구성을 하니(보,기둥,보아지,장여의 결구는 도편수 역량대로)

 

대공높이가 3자3치3푼으로 나오니(3자3치로 하고) 판대공으로 만들면, 4*8치로 3개

 

4*9치로 하나하면 되고, 길이는 4*8이 10자로 1개 5자로 1개, 4*9이 5자로 1개가 필요합니다.





 

종장여는 4*7치가 11자가 3개, 9자가1개 필요합니다.

 

장연은 주심에서 4자 뺀다고 하면 11자나오니 12자 시키면 되겠습니다.


 

단연은 7자면 되겠습니다. 이럴 경우 서까래의 경우는 6자,9자,12자로

 

주문이 되어져야 하기에 9자로 시키면 단연의 손실이 많이 생기게 되네요.

 

이럴 경우 다시 전면적으로 집구성을 조정하여 나무손실을 줄이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내부공간의 구성의 변화가 생기니깐

 

처음부터 여러모로 생각할 부분이 많게 되네요. 장연, 단연갯수는 집을 짜보고

 

세도록 하겠습니다. 임의적으로 여분을 두어 정하기 보다는 스케치업의

 

장점으로 실제와 똑같은 집을 짓기에 정확한 수량을 산출하면(물론 여유는 두고서)

 

여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추녀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앙곡은1자5치로 했고, 안허리는 1자로 했습니다.





 

오량싱과 추녀와 평고대가 만나는 점을 연결하고 그점과 주심싱을 연결합니다.




 

오량부분의 추녀꼬리를 7치남기도록 하고, 1자정도 뒤로 여유를 주겠습니다.


 

추녀의 폭을 6치로 하고 필요없는 부분을 지우면 추녀앙곡이 나오고

 

추녀의 부재를 산출하게 됩니다.

 

추녀의 춤은 1자6치5푼 길이는16자6치2푼인데 평고대에서 1치 나오니깐

 

16자7치로 하겠습니다. 외목길이는 7자1치, 내목길이는 8자8치입니다.


 

박공도 집을 짜면서 계산하도록 하겠습니다.

 

목기연은 3*4치에 3자로 수량은 짜면서 그 외 목기연 개판, 개판,

 

등도 집을 짜고 수량을 파악해보겠습니다.

 

도면을 그리고, 경험치로 수량을 계산해서 뺄 줄 아는 것이 우선이고,

 

그다음에 스케치업으로 보완을 하면 좋으리라 생각되어집니다.

 

저는 스케치업으로 집을 짜면서 물목을 뽑아내고 있습니다. 그만큼 머리를

 

잘 안쓰게 되지요.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함께 따라 오게됩니다.

 

암튼 이정도로 물목뽑기를 하고 다음엔 치목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치목하기전에는 단면도와 평면도가 머릿속에 구상이 되어져서

 

시작을 합니다.

 

출처 : 한옥스케치
글쓴이 : 나무쟁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