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친회 홈피에서 (펌) 효자(孝子) 한천당(寒泉堂) 이공(李公) 실적비명(實蹟碑銘) 병서(幷序) 영광(靈光)의 묘량(畝良)은 선원(璿源)1)의 유서(由緖) 깊은 가문 전주 이씨(全州李氏)가 대대로 살아온 터전으로, 고(故) 효자(孝子) 선무랑(宣務郞) 황산도찰방(黃山道察訪)2) 한천당(寒泉堂) 이공(李公), 휘(諱)는 홍종(.. 고향.추억.옛것 2014.04.08
채제공 초상(蔡濟恭 肖像) 채제공 초상 일괄(蔡濟恭 肖像 一括) 자료실 채제공초상일괄(蔡濟恭肖像一括) 보물 제1477호. 소유자(소유단체) 수원시, 채규식.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사도세자의 신원 등 자기 정파의 주장을 충실히 지키면서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 인물인 채제공의 초상화이다. 수원시 소장 <.. 고향.추억.옛것 2013.09.11
[스크랩] 영광 불갑산(516m) - 1 산 행 일 : 2011. 12. 17 산 행 지 : 영광 불갑산(516m) 산행코스 : 주차장-북능-보현봉-덫고개-노적봉-법성봉-장군봉-연실봉-구수재-용봉-용천봉-모악산-태고봉-나발봉-주차장 산행시간 : 4시간 30분 산행인원 : 나홀로 등반안내도 주차장에서본 건무산 일대 주차장의 삼정자 주차장 인근 산행초.. 고향.추억.옛것 2012.03.05
[스크랩] 한국의 60년대 70년대 세월의 역사속에서 빛 바랜 옛 모습 세월의 역사속에서 빛 바랜 옛 모습 ↑ 서울 삼각지 로타리 1968 ↑ 인천 중국인촌 1968 ↑ 파주 용주골 1968 ↑ 양양 남해항 1968 ↑ 영주역 1969 ↑ 부산 영도다리 부근 1970 ↑ 안동 牛(소)市場 1971 ↑ 구례 피아골 1973 ↑ 서울 종로 2가 1974 ↑ 강릉 선.. 고향.추억.옛것 2011.11.23
[스크랩] 1952년~1953년 한국은... 이 사진들은 1952년~1953년 남한의 사진들이라 한다. 남한이라 하는 근거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1952년 12월 2일 남한을 방문하였는데 당시에 취재하였던 기자가 촬영 한 것이기 때문이다. 옛날 사진을 볼때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옛날에도 문화국민 이었다는 자긍심을 갖는다. 전.. 고향.추억.옛것 2011.11.23
[스크랩] 아흔 살 할머니의 일기 아흔 살 할머니의 일기 "내 나이 아흔, 세상 떠날 날이 머지 않았지..." 올해 아흔인 홍영녀 할머니는 매일 일기를 쓴다. 학교 문턱을 밟아 본 적이 없는 그는 일흔이 돼서야 손주에게 한글을 배웠다. 까막눈에서 벗어난 이후부터 일기를 쓰기 시작한 홍 할머니는 삐뚤삐뚤 서툰 글씨에 맞춤법조차 엉망.. 고향.추억.옛것 2011.03.27
[스크랩] 그 옛날 연탄불의 추억 형택이가 죽었다. 아침부터 뭔가 낌새가 이상했었다. 누가 정해놓기라도 한 것처럼, 항상 가장 먼저 등교하는 형택이가 조회시간이 다 되도록 나타나지 않았다. 형택이가 지각을 한다는 건 아침에 해가 뜨지 않았거나 선생님이 숙제검사를 잊어버린 것만큼이나 낯선 일이었다. 형택이는 아이의 짝이.. 고향.추억.옛것 2010.12.16
꼴베기와 꼴망태 햇꼴 담아 넣은 꼴망태 꼴망태란? 소나 말 또는 토끼가 먹을 풀을 담아 운반하던 도구를 꼴망태라고 한다. 꼴망태는 주로 대나무나 칡넝굴을 이용하여 만든다. 싸리나무로 엮어 둥글게 만든 다래끼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 쪽 어깨에 걸머지거나 양쪽 어깨에 메어 등에 지는 형태로 만들었다. 일어나자.. 고향.추억.옛것 2010.11.12
고향 바닷가의 가을 ↓ 海菊도 거의 다 져가는데 마지막 남은 진한 한송이 노란 꽃술에 벌 한마리 홀로 삼매경에 빠지다 ↓ 해당화는 아직까지 잎도, 꽃도, 열매도 강건하다. 연록과 진록의 싱싱한 잎사이에 진홍. 분홍으로 피고, 맺힌, 꽃과 열매의 색채가 조화롭다 ↓ 베짱이조차 연분홍치마 묻혀 온 몸을 공양하고 있다... 고향.추억.옛것 2010.11.12
[스크랩] 대창초록권역의 덜 여문 가을 감투봉에서 본 서해다도 군유산에서 본 불갑산 연실봉 해재반도 감투봉 인근 석산화 군락 해질무렵 구름 뒤집어 본 연흥사 동백나무 그늘기 칡순 첨성대 함평만 물봉선화와 벌나방 감투봉 인근에서 본 뭔꽃인지 모르는 가을꽃 멀리 백수 구수산까지 고향.추억.옛것 201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