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김종길가옥(金鍾吉家屋) 김종길 가옥(金鍾吉家屋) 지정번호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71호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1리 1196-1 김종길가옥(金鍾吉家屋)은 논으로 둘러싸인 평지에 ‘ㄱ’자형의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가 ‘ㄷ’자형으로 배치된 형태로, 순조 27년(1827)에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어느 대목장의 집짓는 이야기 이글은 Daum Cafe 해랑원에서 옮겨온 것입니다. 3회에 걸쳐서 연재될 이 글은 코딱지(류창희) 선생님의 마당에서 옮겨 온 글입니다. 저를 위해서 올려준 글이라 하여 몇 번이고 보았습니다. 이것은 결국 우리들 모두를 위한 이야기였습니다. 어느 대목장의 집짓는 이야기 1 집이란 곡식은 주..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대목장 고택영 대목장 고택영 “깎고 다듬다 보니 이젠 ‘나무와 귀엣말’” 손길 닿은 고건축 150여채 문하생 20명 ‘수리 기능자’ “60여년 외길 후회없어요” ◇전주 완산 차문화원 신축 현장에서 목재에 먹을 치고 있는 고택영 대목장. ◇전주 정혜사 사천왕문에서 바라본 대웅전. 고택영 대목장이 ..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어느 목수의 이야기(2) -김응선- 천년사찰 꿈꾸는 도편수 김응선 거사 1 장자의 달생편(達生編)에 목수 '경'이라는 사람은 나무를 이용해 뭔가를 만들어 낼 때 자신만이 치르는 의식이 있었다. 그 의식을 이렇게 적고 있다. "먼저 재(齋)를 올려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벼슬을 바라는 생각도 잊고 명예와 권세도 잊고 이레동..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망치와 대패 들고 불국토 세운 대목장-고택영- 고택영(해강. 1914~2004) 망치와 대패 들고 불국토 세운 대목장 어려서부터 ‘타고난’ 손재주 조계사 등 사찰불사 150여채 97년 무형문화재 74호 대목장 해강(海崗) 고택영(高澤永)은 전통건축물을 짓는 목수다. 철들기도 전에 그의 손에는 대패와 나무가 들려 있었다. 나무를 깎고 다듬는 일..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장 최기영 大木匠 신임 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장 최기영 大木匠 [조선일보 이정도 기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건축양식으로 꼽히는 안동 봉정사 극락전, 경기도 파주의 고려 태조 왕건의 사당, 내장사 명부전…. 이곳은 우리시대 최고의 도편수 중 한 사람으로 인정받는 최기영(崔基永) 대목..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목수 배 희한 목수 배 희한 서울의 마포 네거리에서 여의도로 나가는 신작로 왼쪽에 서울 가든 호텔이라는 것이 우뚝 서 있는데, 그 뒤쪽으로 그전에는 '삼선당이'라고 부르던 야트막한 구릉에 게딱지 같은 집들이 달라붙어 있는 동네를 볼 수가 있다. 예전 같으면 삼선당이 여기저기에 발그레하게 피..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스크랩>한옥 짓은 13인의 장인들 출처 : http://happy.design.co.kr/ 한옥 짓은 13인의 장인들 여기 13명의 장인이 있다. 나무가 기둥이 되기까지 해와 바람을 맞으며 지내온 수십 년 세월처럼, 한옥에 그리고 전통 건축에 평생을 바친 사람들이다. <행복>에서는 지난 2007년 12월호 독자엽서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과연 ..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7.22
[스크랩] 희 우 (喜 雨 ) / 杜 甫 창덕궁 그 하나 喜 雨 杜 甫 남국한무우 南國旱無雨 남녘나라에 가뭄들어 비가 오지 않더니 금조강출운 今朝江出雲 오늘 아침 강가에 구름이 이누나. 입공재막막 入空재漠漠 공중에 들더니 비로소 널리 퍼지는구나. 비로소 재 :絲+쌀포변+입구+比+免+. 쇄형이분분 灑逈已紛紛 멀리서 비뿌리며 어지러이 ..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6.12
[스크랩] ㄱ자집 짓기(평면도 작성,물목뽑기) 비가와서 쉬는날 시작을 해보는데 풀어쓰는것이 쉽지가 않은 것임을 알게 됩니다. 암튼 시작했으니 조금씩 풀어가겠습니다. ===================================== 이집에 대한 기준은 저의 경험과 생각에서 정하기에 당연히 경험부족과 관심부족으로 실수와 미흡한 부분들이 많이 나오리라 생각..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