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형식 Ⅱ. 포작 형식 주심포형식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 놓여 지붕의 하중을 기둥에 원활히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건축구조물이다. 공포 위에는 보와 도리, 장혀 등의 부재가 올라가 이를 타고 내려온 지붕의 하중이 합리적으로 기둥에 전달 되도록 한다. 공포의 분류는 기둥의 윗부분에서 주두와 소로, 첨..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서까래 좌판 서까래 좌판 사용 방법 서까래 좌판 사용 방법 서까래는 아래 앙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서까래 곡이 다르므로 서까래 좌판 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곡을 잡아준다. 중심의 곡을 '0'으로 정하고 좌우로 번호를 정한다. 장연(長椽) 앙시도 이 좌판에서는 서까래 곡을 나타내..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목재 천연건조 장단점 천연건조의 정의 천연건조(air drying, natural drying)란 생재 또는 기타 목제품을 천연건조장에 쌓아 자연의 대기조건에서 말리는 것을 말한다. 천연건조는 예로부터 지금까지 세계 도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건조에서는 항상 천연건조효율(air drying yard)을 고려해야 한다. ※ 천연건조효율 :..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건조에 의한 목재의 수축과 틀어짐 현상 생재는 수분을 잃어 버려도 섬유포화점에 도달할 때까지는 수축하지 않는다. 섬유포화점 이하가 되면 서서히 수축하기 시작한다. 건조에 의한 목재의 수축율은 섬유방향이 가장 작고 그 다음이 방사방향, 접선방향의 순이다. 따라서 생재로부터 일정한 단면을 지니는 목재를 제재하면 건조에 의해 수..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무거운 목재가 반드시 강한 것일까? 무거운 목재가 반드시 강한 목재인가? 무거운 목재가 반드시 강한 목재인가?라는 질문을 가끔 접하게 된다. 목재는 작은 세포가 모여 이루어진 집합체로써 조건에 따라서는 이들 세포의 벽 뿐만 아니라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세포내강에도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목재를 구성하는 요소인 세포의 ..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심재와 변재 중 어느 것이 더 좋은가 수간의 중심 부분의 짙은 색 목부를 심재(心材, heartwood)라 부르고 수간 가장자리 부분의 옅은 색 목부를 변재(邊材, sapwood)라고 부른다(그림 1 참조). 변재는 세포의 일부, 즉 유세포가 살아있어 양분을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생리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심재는 모든 세포가 죽어 있기 때문에 생..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목재의 성질 ● 밀도 밀도는 목재의 무게 또는 단위부피당 목재 질량이며, 비중은 수분의 밀도에 대한 목재 밀도의 비율이다. 미터법에서 밀도와 비중은 수적으로 동일하다. 소나무의 비중은 0.47g/㎤, 상수리나무의 비중은 0.84g/㎤ , 미송의 비중은 0.45 g/㎤이다. 목재 추출물들의 양은 3~30% 사이에서 변하므로, 이 물..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목재의 구조 █ 일반적인 물관부 구조와 세포 유형 그루터기나 줄기를 가로로 절단하면 중심부의 수(髓) 주위에 연속적인 생장층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수피층에 의해 보호되며 수피와 목재 사이에는 관다발형성층이 있다. 측생분열조직(側生分裂組織)은 육안으로는 뚜렷이 구별되지 않지만, 여기서 물관부나 체..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
팔만대장경판의 제작 과정 경판 나무의 선정 산벚나무와 돌배나무 등 경판에 쓰인 나무는 같은 종류의 나무가 한꺼번에 모여서 자라지 않은다. 각자의 자람에 가장 적당한 곳에서 나름대로 자라는 나무이다. 운 좋게 땅이 깊고 양지바른 곳을 선택한 나무가 자라는 곳엔 경쟁자가 많게 마련이다. 물푸레나무, 참나무 등 우악스.. 한옥.목재.주거.조경. 공간 2010.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