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등 漢字成語 입력된 한글에서 <F9> 글쇠를 누르면 한자 사전이 나타납니다. 여기에는 한 자짜리에서 열두 자짜리까지 약 17만 개 정도의 한자 단어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네 자로 된 것들 위주로 흔히 쓰이는 고사성어(故事成語)와 한자숙어(漢字熟語) 약 1000여 개에 대하여 그 .. 잡동사니지식 2012.07.03
고려 선비 최해 예산은자전(猊山隱者傳) 은자(隱者)의 이름은 하계(夏届) 또는 하체(下逮)이며, 성씨는 창괴(蒼槐)이다. 대대로 용백국(龍伯國)의 백성으로 살았다. 본래는 복성(覆姓)이 아니었는데 은자에 이르러서 우리나라의 음이 느리기 때문에 그 이름과 함께 바뀐 것이다. 은자는 아이 적에 이미.. 잡동사니지식 2012.04.17
양애간의 쓰임새 みょうが(茗荷) 料理:薬味・生食・胡瓜と生姜と茗荷の塩もみ・天ぷら・茄子と茗荷の塩もみ・茄子と茗荷の味噌汁・シーチキン和え・たらこ和え・卵とじ・かき卵汁・ミョウガご飯・ミョウガ田楽・ぬか漬け・赤梅酢浅漬け・赤梅酢漬けその2 当地のような農村部では.. 잡동사니지식 2011.12.07
회문시 ● 廻文詩: 시사(詩詞)의 별체(別體)로 회문(回文)이라고도 하는데, 진(晉) 나라 때 소백옥(蘇伯玉)의 아내가 지은 반중시(盤中詩)에서 비롯되었으며, 전진(前秦)의 두도(竇滔)의 아내가 선기도(璿璣圖)를 지으면서 체제가 크게 갖추어졌다. 이 시체는 시구(詩句)를 바둑판의 눈금처럼 배열하여 끝에서부.. 잡동사니지식 2011.09.26
목재 사이(수량) 계산법 노 목상老木商들의 ........... ▣ 나무를 생각함 ▣ 나무는 제가 가야 할 길을 알고 있었다 태어날 때부터 둥글게 첫 나이테를 말기 시작할 때부터 나무는 언제나 다가올 제 운명을 조용히 기다리고 있었다 어떤 나무는 제 몸에 명주실을 걸어 소리가 되기도 하고 어떤 나무는 다른 나무들과 어깨를 기대.. 잡동사니지식 2011.08.24
우리가 알면서도, 또 모르고 쓰고 있는 일본식 한국말 우리가 알면서도, 또 모르고 쓰고 있는 일본식 한국말 우리가 평소에 자주 쓰면서도 일제 강점기부터 쓰던 일본식 한국말이 상당히 많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가. 순일본말 다음은 순일본말이지만 알면서도 쓰고, 또 모르고 쓰는 것들이다. 1. 가께우동(かけうどん) -> 가락국수 2. 곤색(紺色, こ.. 잡동사니지식 2011.06.07
[스크랩] 김지하의 `오적(五賊)` 김지하의 '오적(五賊)' 김지하 창작 판소리 '오적'(五賊) 판소리 '오적'(五賊)의 관련 글과 음악을 듣기 전에... 김지하시인의 91년 조선일보에 실린 기고문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워라'와 관련해 많은 비판을 받았고 그 후 10여 년이 지나서 그 당시의 발언에 대해 나름의 해명을 하였으나 그 해명 조차 단.. 잡동사니지식 2011.05.16
[스크랩] 목초액 우리집에서 화목 보일러를 쓰는데요 겨울에는 특히 목초액이 많이 나와요 농협에서는 별로 알려주는 것 없이 그냥 모아두라고 하더래요. 그래서 제가 좀 알아봤어요. 유용하고 쓸만한 자료가 많은데요, 우리집에선 올해는 작물에 못 써요. 최소 정제기간이 6개월인데 그럼 농작물이 크는 시기는 다 지.. 잡동사니지식 2011.04.01
[스크랩] 관절염 요통 천식에 죽봉령 기혈의 흐름이 막힌 것을 뚫어주는 작용, 가래, 관절염, 신경통, 고질적인 퇴행성 관절염, 견비통, 요통, 해수, 천식, 여성의 생리불순에 효험있는 죽봉령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키큰 대나무 밭에가면 뿌리에 기생하는 혹이 있는데, 그 이름에 대해서 대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혹이 소나무뿌리에 기생하.. 잡동사니지식 2011.03.10
중풍치료법 / 홍만선의 '산림경제' 중에서 중풍(中風) 1.갑자기 쓰러져 의식을 잃고 눈이 뒤집히고 입이 삐뚤어지며 손과 발을 쓰지 못하게 된다. 이럴 때는 급히 엄지손톱으로 인중(人中)을 집어뜯고 조각자(皁角刺) 가루를 코에 불어넣고는 즉시 두정(頭頂)의 머리털을 끌어일으켜서 재채기가 나기를 기다려야 하는데 재채기가 나오면 치료가 .. 잡동사니지식 2011.02.17